25일차
TIL 210407
1. 블로그와 나의 방향성에 대하여
- 여태 블로그를 작성하는 주된 목표는 그날 학습 한 것을 복습하기 위함이었다. 그래서 유어클래스나 스프린트 등을 공부하면서 알게 된 것을 oneNote 에 적어두었고, 그날 저녁에 블로그에 다시한번 정리하는 식으로 공부하였다.
- 이제부터 oneNote에 정리된 개념 뿐만 아니라 배운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정리해야겠다! 복습에서 응용으로, 더 성장하고 싶다. 🦋
2. 유어 클래스에서 배운 개념
-
모듈화의 핵심 = 재사용성 스코프 : 모든 모듈은 자신만의 독립적인 실행 영역이 있어야 한다. 정의 : 모듈 정의는 export 객체를 이용한다. 사용 : 모듈 사용은 require함수를 이용한다.
-
node.js 로 서버를 만드는 것 뿐만 아니라 엄청나게 다양한 것을 할 수 있다. but node.js에는 DOM 이 존재하지 않는다. 😅
-
commonJs 모듈 정의는 전역 객체인 export 객체를 이용한다. 모듈 사용은 require 함수를 이용한다. 외부 스크립트를 require 구문을 이용해 두 번 불러올 경우, 외부 스크립트는 한 번만 실행된다. 불러 왔을때 값이 캐싱으로 저장된다.
- 화살표 함수 : function 키워드를 화살표로 축약해서 표시하는 함수
const add = (x,y) => { return x+y }
- 구조 분해 할당 : spread 문법을 이용하여 값을 해체 한 후, 개별 값을 변수에 새로 할당하는 과정
-
클래스와 인스턴스 : 사실 개념 이해는 되는데 이것이 어떻게 응용되는지가 궁금하다.
- 클래스를 만드는 방법 = class 키워드 사용 = 생성자 (constructor) 함수
class Car {
constructor(brand, name, color){
//인스턴스가 만들어질 때 실행되는 코드
}
}
-
클래스에 속성과 메소드를 정의하고, 인스턴스에서 이용한다.
-
new 키워드를 통해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만들어 낼 수 있다. 즉시 생성자 함수가 실행되며, 변수에 클래스의 설계를 꼭 닮은 새로운 객체, 즉 인스턴스가 할당된다.
let avante = new Car('hyundai', 'avante', 'black')
-
this 키워드 : 함수 실행 시 호출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특별한 객체 함수 실행시 결정되므로, 실행되는 맥락에 따라 this 는 다르게 결정된다. 화살표 함수는 어떤 경우에도 this 를 결정하지 않는다. 화살표 함수를 어떻게 실행하든 this 값은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.
-
call. apply 메소드 : 명시적으로 this 를 지정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. 첫 번째 인자가 항상 this 값이 된다. *bind 메소드 : this 및 인자를 바인딩 하나 당장 실행하는 것이 아닌 바인딩 된 함수를 리턴하는 함수이다.
fn.bind( this 값, 인자1, 인자1, ...)
2-1 Self-Sprint Review
개념을 막 모르진 않겠는데 그렇다고 막 안다고 말하기도 애매한 상태인 것 같다. reduce 처럼 좀더 실습을 해야 이해가 될 것 같다. 추상화에 대한 고민이 깊어진다. 100프로 알 필요없다. 바퀴를 발명해낼 필요가 없는 것처럼.
3. 귀신같은 페어 리뷰
- 아래와 같은 심장 쿵 내려앉는 페어 리뷰를 받았다. 프리과정때 만났던 페어분이 남겨준 리뷰는 스스로 이머시브 과정 일주일을 돌아보게 했다. 사실 프리 과정을 수강했을떄(불과 한 달전) 공부하는게 너무 재밌어서 코스 과정 외에도 유튜브나 블로그 등 다양한 소스를 통해서 공부를 진행했었다. 내가 겁을 먹었나? 코스 떨어져서 22주 재수강 할까봐 겁쟁이가 되버린걸까 ? 사실 어디까지 이해하고 넘어가야 하는지는 아직 의문이다. 왜냐면 공부라는게 하다보면 끝이 없고 시간이 너무많이 흘러가버린 경우도 있었기 때문이다. 블로깅할때 개념을 나만의 단어로 정리하고, 학습하면서 이해하는데 문제가 없다면 넘어가되, 그 깊이들어가는 것에 대해서 겁먹지 말자. 난 지금 잘하고 있다.